F1 중계 화면엔 시청자들을 위한 이런저런 정보들이 제공되지만 이것들이 다는 아니죠. 순위 경쟁이 중계 화면에도 늘 뜨긴 해도, 드라이버 개개인의 페이스, 특히 중계 화면에 지금 나오지는 않는 드라이버들에 대한 정보가 알고 싶다면? 라이브타이밍을 켜실 때가 되었습니다. :)
웹에서 보기: https://www.formula1.com/en/f1-live.html
Live Timing
Live Timing
www.formula1.com
앱으로 보기 - iOS https://itunes.apple.com/gb/app/official-f1-app/id835022598?mt=8,
Android 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softpauer.f1timingapp2014.basic
F1 라이브타이밍(Live Timing)이란 F1 그랑프리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(시간)정보입니다. 모든 드라이버들의 구간 단위 시간 정보와 랩 타임 + 트랙 포지션 등등이 포함되고, 기본적으로 각 팀 피트월이나 중계진이 활용하는 정보도 이걸 바탕으로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 중계는 여러 상황을 고려해 - 특히 사고 상황 - 실시간으로부터 30초에서 1분 정도 정도 딜레이를 두는 것 같은데, 라이브타이밍 체크는 이런 시간차를 보다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이기도 합니다. 어떻게 생각하면 스포일러일지도
보는 법은 iOS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. 제가 GP 볼 때는 아이패드에 띄워놓고 보다 보니...; 웹 버전과 제공되는 정보는 같지만 인터페이스에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.
1) 기본 설명
서킷은 컨트롤 라인을 기준으로 크게 세 구간으로 나누어, 각각을 섹터 1 - 섹터 2 - 섹터 3 로 부릅니다(*서킷마다 나눠지는 지점이 다르고 ㅁㅎ든 식터 길이가 동일하지도 않아요. 자세한 것은 그 GP의 서킷 맵을 참고하십시오). 각 섹터별 통과 시간을 더하면 한 바퀴 도는 데 걸린 시간(=랩 타임)이 되고요.
- 지금 (트랙에) 나와 있는 드라이버: 흰색 글씨
- 지금 (트랙에) 나와 있지 않은 차/드라이버: 회색 글씨
- 최신 기록: 흰색 글씨
- 이전 기록(*기본): 노란색 글씨
- 드라이버 개인 최고 기록: 녹색 글씨
- 모든 드라이버들 중 가장 빠른 기록: 보라색 글씨 (*정확히는 마젠타지만 왠지 다들 퍼플이라고 부르고 있는 그 색)
- 트랙에서 피트로 들어가는 중: ▷
- 피트에서 트랙으로 나오는 중: ◁
- DRS: ● (드라이버가 사용 중일 때)
모든 세션에서 공통 적용되는 기본적인 컬러 코드입니다. 노란색은 쏘쏘거나 별로, 녹색은 좋은 뜻이라고 생각하셔도 대충은 들어맞는다는 것
2) 라이브타이밍 보기: 연습주행
'Laps' 탭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. 다른 탭은 제가 스크린샷을 떠 놓은 게 없네요.;
- BEST LAP: 해당 드라이버의 그 세션 최고 기록으로, 연습주행 순위는 이것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합니다.
- GAP: 현재 1위인 드라이버와의 기록 차이입니다.
- S1, S2, S3: 섹터 1, 2, 3 기록입니다.
- TYRE: 현재 장착하고 있는 타이어입니다. 2(M) = 미디움으로 2랩을, 3(S) = 소프트로 3랩을 달렸다는 뜻이 됩니다. 새로 갈아끼우고 나온 타이어는 0(S) 와 같이 표시합니다.
- DRS: DRS 사용 여부입니다. 사용 중일 때는 ● 표시가 켜집니다.
- LAPS: 해당 세션에서 드라이버가 서킷을 몇 바퀴나 달렸는지의 총합입니다.
- 우 하단 시계는 세션 종료(=체커드 플랙)까지 남은 시간을 알려 줍니다. 연습주행 때엔 레드 플랙이 선언되어도 시계는 돌아갑니다. 그 옆엔 기온 등등 날씨 정보 탭이 있어요.
이 화면을 바탕으로 알 수 있는 정보: 현재 트랙에 나와 있는 드라이버는 노리스, 휠켄베르크, 가슬리, 르클레르, 사인스, 베텔입니다. 이 시점 세션 최고 기록을 낸 드라이버는 새 미디움 타이어를 낀 노리스로군요. 섹터 1, 2에서 자기 기록을 경신했고 섹터3 현재 세션 최고 기록입니다. 휠켄베르크는 DRS를 켜고 섹터3 통과 중이네요. 가슬리가 잠시 핏했다가 트랙으로 나오고 있습니다. 새 소프트를 낀 르클레르가 섹터1 세션 최고 기록을 내며 달리는 중입니다. 사인즈는 섹터 2, 3을 통과해 지금 새 랩을 시작했군요. 베텔도 섹터 1에서 개인 기록을 경신하며 섹터 2에 접어들었습니다.
라이브타이밍 체크에 익숙해지면 GP 주말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씀드리는 이유입니다. :)
3) 라이브타이밍 보기: 퀄리파잉 세션
- BEST LAP은 해당 드라이버의 그 세션 최고 기록으로, 퀄리파잉 세션 순위는 이것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합니다. 소수점 아래 세 자리까지 동일한 기록일 경우 먼저 기록을 낸 드라이버를 높은 순위로 칩니다.
- GAP: 현재 1위인 드라이버와의 기록 차이입니다.
- S1, S2, S3: 섹터 1, 2, 3 기록입니다.
- TYRE: 현재 장착하고 있는 타이어입니다. 2(M) = 미디움으로 2랩을, 3(S) = 소프트로 3랩을 달렸다는 뜻이 됩니다. 새로 갈아끼우고 나온 타이어는 0(S) 와 같이 표시합니다.
- DRS: DRS 사용 여부입니다. 사용 중일 때는 ● 표시가 켜집니다.
- LAPS: 해당 세션에서 드라이버가 서킷을 몇 바퀴나 달렸는지의 총합입니다. 퀄리파잉 세션 동안엔 누적이에요.
- 우 하단 시계는 세션 종료(=체커드 플랙)까지 남은 시간을 알려 줍니다. 퀄리파잉 세션에서는 레드 플랙이 선언되면 시계가 멈춥니다.
이 화면을 바탕으로 알 수 있는 정보: 현재 Q2 탈락한 드라이버 5명을 제외한 모든 드라이버가 트랙에 나왔거나 나오고 있습니다. 이 시점 세션 최고 기록을 낸 드라이버는 새 미디움 타이어를 낀 해밀튼이네요. 섹터 1, 3에서 현재 세션 최고 기록입니다. 아직 랩타임을 기록하지 않은 드라이버가 일곱 명 있습니다. 보타스가 섹터2 세션 최고 기록을 냈고 아마도 이번 랩에서 좋은 기록을 내겠네요. 가슬리가 새 소프트 타이어를 장착하고 트랙으로 나오고 있습니다. 러셀은 섹터별 기록으로 보아 다음 랩에 기록 내기를 시도할 것 같습니다. 녹색 띄운 드라이버가 많은 걸로 보아 잠시 후 순위표가 요동치겠군요. :)
4) 라이브타이밍 보기: 레이스
- POSITION: 현재 레이스 순위입니다.
- LAP TIME: 해당 드라이버가 방금 기록한 랩 타입입니다. 이전 랩보다 빨라지면 초록색으로,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면 보라색으로 표시됩니다. 드라이버의 페이스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(탭하면 BEST LAP으로도 볼 수 있고, 해당 드라이버의 그 시점까지 최고 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어요).
- GAP: 현재 1위인 드라이버와의 간격입니다. 한 바퀴가 넘어서면 그때부터는 1L 과 같이 표시합니다.
- INTERVAL: 바로 앞 드라이버와의 간격입니다. DRS 디텍션 포인트에서 1초 이하로 붙으면 뒷차가 DR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S1, S2, S3: 섹터 1, 2, 3 기록입니다.
- POS: 출발 시점 대비 순위 변화입니다. 출발한 그리드보다 윗순위면 ↑, 낮아졌으면 ↓ 로 표시합니다.
- TYRE: 현재 장착하고 있는 타이어입니다. 2(M) = 미디움으로 2랩을, 3(S) = 소프트로 3랩을 달렸다는 뜻이 됩니다. 새로 갈아끼우고 나온 타이어는 0(S) 와 같이 표시합니다.
- DRS: DRS 사용 여부입니다. 사용 중일 때는 ● 표시가 켜집니다.
- PIT: 해당 세션에서 드라이버가 몇 번이나 피트인했는지의 기록입니다. 굳이 타이어를 교체하지 않아도 드라이브스루 페널티 등을 수행했을 경우에도 1회가 추가됩니다. 피트레인에 들어왔다 나가면 +1 된다고 보셔도 OK.
- 우 하단에는 시계 대신 랩 수가 표시됩니다. 스크린샷은 스페인 GP라서 총 66랩, 레이스 종료 직후라 66/66 으로 표시되고 있네요.
즐거운 F1 관람 되시길! :)
댓글